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이집트] 최근 경제 동향 ('25.02.02.-06..)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2-10
조회수
72

(정보제공: 주이집트대한민국대사관)



이집트 최근 경제 동향 ('25.02.02-06.)



1. 이집트 총리, 재무부 장관, 중앙은행 총재 주요 경제 정책 논의


  o 주재국 Madbouly 총리는 2.3. 신행정수도에서 Ahmed Kouchouk 재무부 장관 및 Hassan Abdalla 이집트 중앙은행(CBE) 총재와 만나 주요 경제동향과 경제 정책을 논의함.


    - (정부와 CBE간 협력) 이집트 정부는 CBE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물가 안정을 위한 조치를 강화할 예정, 특히 다가오는 라마단 기간 동안의 물가 상승에 대비하여 필요한 재정지원을 확보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예정


    - (경제 활성화) 이집트의 순 외환보유액은 12월 471억 900만불로 최고치를 경신, 이집트인 해외 송금액 또한 전년 동기 대비 47.1% 급증하여 2024년 1월부터 11월간 263억불을 기록함. 이는 이집트 경제가 강화되고 있음을 나타냄.


    - (환율 정책) 정부는 유연하고 통일된 환율을 보장하는 정책을 통해 더 많은 외화를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표명, 이는 환율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경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


2. 이집트 2025-2026 예산은 사회 보장, 의료, 교육에 방점


  o 이집트 정부는 2.4. 신행정수도에서 Ahmed Kouchouk 재무부 장관 및  Rania Al-Mashat 경제개발·기획·국제협력부 장관, 정부 고위 관료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5-2026 회계연도의 주요 예산안 검토 및 우선순위를 공개, △사회 보장 프로그램, △의료, △교육에 대한 예산을 크게 늘릴 예정임.


    - 또한 배정된 예산은 △연대와 존엄(Takaful and Karama) 프로그램과 △Decent Life 이니셔티브와 같이 이집트인들의 삶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예정


    - 정부는 차기 회계연도 예산안이 재정 규율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건전한 재정운영을 통해 국가 경제의 안정성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표명


3. 이집트 총리, 생활비 부담 완화를 위한 사회 보장 패키지 검토


  o 주재국 Madbouly 총리는 2.2. Ahmed Kouchouk 재무부 장관 및 Maya Morsy 사회연대부 장관, 각 부처 관계자가 모두 참석한 가운데, El-sisi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사회 보장 패키지 세부사항 논의를 위한 간담회를 주재함.


    - 동 패키지는 저소득층 국민들 지원 및 경제적 어려움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음. 따라서 동 회의는 패키지의 대상 그룹과 주요 구성요소들을 확정하는데 초점을 맞췄고, 특히 Madbouly 총리는 지원이 필요한 수혜자를 정확하게 타겟팅 함으로써 저소득층의 재정적 부담을 완화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강조함.


    - 정부는 제안된 패키지의 세부사항들이 최종적으로 고려되어 대통령에게 보고될 것이며, 앞으로도 정부는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밝힘.


4. 이집트 관광수입 10년만에 2배 증가


  o 이집트 정부는 2.3. 관광 산업 활성화 전략의 일환으로 이집트에 대한 관광 보고서를 발표, 관광부문의 긍정적 성과 및 목표를 제시함.


    - 발표된 보고서에 의하면, 2024년 이집트 관광 수입은 153억불로 2014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24년 관광객 수는 1,580만명으로 2014년 대비 59.6% 증가하였음. 2032년까지 3천만명의 관광객 유치가 목표


    - 정부는 관광 산업의 지원을 위해 △투자 인센티브 제공, △주요 글로벌 행사 유치, △다양한 프로모션 캠페인 등 다각화된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 이외에도 △고고학 관광 개발, △나일 관광 개발, △종교 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국가 관광 개발 전략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특색있는 문화유산을 홍보하며 관광 시장을 개척하고 있음.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